장애인, 비장애인보다 암발생률 낮지만 사망 위험 높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 결과
장애인의 암 발생률, 비장애인의 0.9배 수준
치료 못받는 비율은 더 높고 사망률 1.05배
"장애인에 대한 전주기적 암 서비스 이뤄져야"

장애인, 비장애인보다 암발생률 낮지만 사망 위험 높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 결과
장애인의 암 발생률, 비장애인의 0.9배 수준
치료 못받는 비율은 더 높고 사망률 1.05배
"장애인에 대한 전주기적 암 서비스 이뤄져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전하라 교수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암 발생률은 낮지만 암에 걸렸을 때 사망할 위험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전하라 교수 연구팀은 '장애인에서의 암 발생률 및 생존률에 대한 연구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장애인의 사망 원인 1위는 악성 신생물(암)이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 발생 이후 암 발생률과 사망률, 암 검진률 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건강정보자료를 이용해 첫 장애 등록 일자가 2004년부터 2010년인 19세 이상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암 발생률은 장애인에서 11.0%, 비장애인의 경우 12.1%로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암에 걸릴 위험이 0.9배 수준이었다. 암 검진율은 장애인이 67.1%, 비장애인 73.0%로 장애인에서 0.76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Click

하지만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암 치료를 잘 받지 못하고 발병시 사망 위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은 장애인이 40.9%, 비장애인이 32.3%로 조사됐다. 암 발생 이후 사망률은 장애인 58.3%, 비장애인 55.9%로 장애인이 오히려 1.05배 가량 높았다.

연구팀은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암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학적 서비스의 이용이 어려워 암 발생율은 낮고 사망률은 높은 것으로 보고됐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팀은 "암과 장애를 함께 안고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장애인들에게 암 예방부터 암 조기 진단, 치료까지 전주기적으로 암 서비스가 적절하고 유연하게 제공돼야 하며, 이는 장애의 정도가 심한 중증 장애인일수록 그 필요성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신체적·정신적 장애가 암 검진·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장애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의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며 "장애인의 암 관리를 위한 사회적·경제적·의료적 개입을 통해 암 전주기에 걸쳐 장애인들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e-경남 사회복지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휘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