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학부모·교사·교육 전문가 등 진로탐색·심리교육 제안
공론화추진단, 정책권고안 마련해 3월 초 교육감에게 제출
경남교육청 공론화추진단 ‘학업 중단 예방’ 합의회 개최
청소년·학부모·교사·교육 전문가 등 진로탐색·심리교육 제안
공론화추진단, 정책권고안 마련해 3월 초 교육감에게 제출
경상남도교육청 정책숙의제 공론화추진단(단장 최승일)은 19일 공론화 의제인‘학생의 학업 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 연계 정책 마련’을 놓고 교육공동체로 구성된 전문가 숙의단을 구성하여 합의회를 열었다.
공론화추진단 합의회는 학생, 학교 밖 청소년, 학부모, 학교와 위탁기관 교사, 꿈드림 교사와 교육 전문가 등 총 24명으로 구성했다.
이날 합의회는 △공론화와 의제 관련 학습 △1차 토론 △사전 인식 조사 결과 안내와 학습 △2차 토론 △정책방향 논의를 위한 학습 △3차 토론 △최종 토론 등 4차례에 걸쳐 분임 토론을 했다.
전문가 숙의단은 학생의 학업 중단을 예방하는 교육으로 진로탐색과 심리 정서 안정화 교육을 학생 연 2회, 학부모 연 2회, 교직원 연 2회로 진행하도록 추진단에 요청했다.
공론화추진단은 원탁 토론회와 합의회를 통해 학생의 학업 중단을 예방하고 학교를 그만둔 학령기 청소년에게 교육 기회와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정책 권고안을 마련하여 3월 초까지 교육감에게 제출할 예정이다.
경남교육청은 2019년부터 교육 현안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정책숙의제를 운영하며 사회적 숙의와 합의에 기초한 교육정책 방안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2021년 9월~10월 공론화 의제를 발굴하고자 의제 선정위원회를 4차례 열어 ‘학생의 학업 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 연계 정책 마련’을 선정했다.
최승일 공론화추진단장은 “의제와 관련해 공동체의 사전 인식 설문조사, 관계자 간담회, 청소년 면담과 원탁 토론 등을 통하여 교육공동체의 적극적인 공감대를 형성했고,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송호찬 민주시민교육과장은“위기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에게는 가장 높은 수준의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라며 “학업 중단 위기에 놓인 학생, 학교 밖 청소년,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선생님들에게 도움 되는 방향과 방법을 찾아가는 소중한 자리였다”라고 말했다.
한편 경남교육청은 학업 중단을 예방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대안적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학교 내 학업 중단 예방 프로그램인 꿈키움교실을 298개 학교에서 운영 중이며 대안교육 위탁기관 35개, 대안(특성화)학교 13개 학교와 청소년 쉼터 위카페 다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끝>
<저작권자 ⓒ e-경남 사회복지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휘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