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사업 제도개선으로 효과 높인다

- 전문가 주민참여하는 위원회 시군개최여부 평가 반영
- 도시숲의 적정규모 유지해 도시숲 조성효과 확대
- 계약의 투명성 확보 위해 수의계약 비중 축소 권고


경상남도는 기후위기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간 약 73ha의 도시숲을 조성해 기후 환경을 개선하고 있으며 올해도 12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12ha의 도시숲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기후대응 도시숲은 산업단지와 도로, 도심내 주거지 주변 유휴단지에 대단위 숲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최근 황사가 전국을 덮치고 있고, 탄소발생량 증가로 전 지구적 기후 위기가 지속되고 있어 탄소흡수원 조성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경남도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도시숲 조성사업의 제도개선을 통해 탄소감축 및 도시열섬 완화 등의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먼저, 대상지 선정시 입지적합성, 사업규모, 갈등유발가능성 등 기존 대상지 선정 검토 사항에 경남도에서 이미 개최하고 있는 심의위원회를 시군 단위에서부터 개최할 수 있도록 평가에 반영해 대상지 선정의 전문성을 확보한다.

또한, 규모 면에서도 미세먼지 차단과, 탄소저감, 도시열섬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소규모 면적을 제외하고 가급적 1ha 내외의 대상지를 우선 선정하고, 산림청에서 배포된 ‘기후대응 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를 적극 활용해 조성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계약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군에 수의계약 비중 축소를 권고할 계획이다. 지난 6년간('19~'24년)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사업의 시군의 수의계약 비율은 약 24% 정도이다.

산림청에서도 계약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산림사업에 대한 대행·위탁사업의 범위와 대상기관, 사업자 선정기준 및 절차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다.

문정열 산림휴양과장은 “앞으로 기후대응 도시숲 대상지 선정의 적정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산림청 시군과 협조해 전문가 시민이 참여하는 심의위원회 개최하고, 계약의 투명성 확보 등 제도개선을 통해 사업의 효과를 높여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e-경남 사회복지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휘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