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갑만 끼면 OK” 청각장애인도 음악공연 즐긴다

- ETRI, 청각장애인 위한 공연에 ‘촉각음정시스템’ 적용
- 장갑 착용해 소리 없이도 대금 선율·음정변화 느껴

“장갑만 끼면 OK” 청각장애인도 음악공연 즐긴다

- ETRI, 청각장애인 위한 공연에 ‘촉각음정시스템’ 적용
- 장갑 착용해 소리 없이도 대금 선율·음정변화 느껴

ETRI 신승용 선임연구원이 촉각음정시스템을 통해 음정변화를 손가락으로 전달받는 모습.[ETRI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정보통신기술(ICT)과 예술의 결합으로 청각장애인들도 물리적 장벽없이 음악공연을 즐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국악공연에서 ‘촉각 음정 시스템’을 활용해 국악 악기의 음정을 실시간으로 청각장애 관람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촉각 음정 시스템은 음악이나 소리 등 청각 정보로부터 소리의 주파수 신호를 뽑아내 촉각 패턴으로 만들어 기기를 통해 피부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기술이다. 이 기술이 적용된 장갑을 착용하면 음정 변화를 손가락으로 느낄 수 있다.


ETRI는 지난해 촉각 음정 시스템을 개발해 청각장애인에게 소리를 전달한 데 이어 올해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국악공연 ‘이음풍류’를 개최했다. 이음풍류는 국내 최초로 청각장애인들이 소리를 듣지 못하더라도 시각과 촉각을 통해 국악의 생생한 라이브를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모든 곡에는 수어를 통한 감정 전달 및 해설 , 자막이 제공됐다.

국내 기업인 비햅틱스에서 개발한 조끼를 착용해서 연주의 박자감을 온몸으로 느끼고 ETRI의 촉각 음정 시스템이 적용된 장갑을 통해 악기의 정밀한 음정 변화를 손가락으로 느낄 수 있다. ETRI는 국악공연과 실시간 연동을 위해 촉각 음정 시스템의 기존 촉각 패턴을 서양 음계 방식에서 국악의 음계 방식으로 변경하고 악기의 특성에 맞게 음역을 확대하는 등 기존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연구진은 잡음 조정 및 속도·떨림 보정을 통해 명확한 음정 표현을 가능케 했으며 음향-기기 간 실시간 반응속도를 높여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번 공연에서는 국악기 중 대금에 집중해 대금의 세세한 음정 변화를 손가락의 촉감을 통해서 체험할 수 있었다.

해외의 경우 촉각을 이용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라이브 공연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음악의 비트감을 몸으로 체감하는 수준으로 정밀한 악기에서의 음정 변화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이음풍류 공연이 세계 최초의 시도다.


신형철 ETRI 휴먼증강연구실장은 “ETRI가 개발한 기술이 실험실 환경을 벗어나 실제 공연에 도입할 기회를 얻어 기술 개발에 대한 보람을 느끼고 있다”면서 “완성도를 높여 적용 분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e-경남 사회복지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휘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