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여성폭력 없는 안전한 일상에 온 힘 쏟는다


경남도, 여성폭력 없는 안전한 일상에 온 힘 쏟는다



- 민·관·경 협업 강화로 보다 체계적인 여성폭력방지 시책 추진 기대

- 7일 여성폭력방지위원회 개최, 각계 의견 수렴 및 '24년 계획 확립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7일 오후 신관 중회의실에서 신종우 복지여성국장 주재로 각계 전문가(여성단체, 교육기관, 학계, 사법 관련 기관 등)으로 구성된 여성폭력방지위원회를 개최해 2024년 여성폭력 방지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심의하였다.



경남도는 여성폭력 없는 안전한 경남을 만들기 위하여 제1차 여성폭력방지 기본계획(2020년~2024년)에 따른 2024년 경상남도 시행계획을 수립해 민·관·경 협업을 통해 촘촘한 피해자 지원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종합계획은 5대 폭력 피해자에 대한 통합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여성긴급전화 1366 경남센터와 해바라기센터(성폭력피해자통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와 관련한 피해자와 동반가족에 대하여 경찰, 지역상담소 등과 연계해 여성폭력 피해 유형별 맞춤 지원서비스를 추진한다.



특히 경남도는 젠더 폭력 방지를 위하여 도 경찰청-여성긴급전화 1366과 협업하여 ‘젠더폭력 재발방지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 이 사업은 여성폭력 발생 시 경찰과 상담원이 동행 출동하여 가해자는 경찰이, 피해자는 시설이 분리·보호하여 피해자와 가해자 상담을 각각 추진하며 여성혐오범죄·이상동기범죄 등 여성폭력 사각지대까지 지원한다.



또한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등 신종 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스토킹 방지 조례」 및 「경상남도 디지털 성범죄 방지 및 피해지원 조례」에 근거하여 민·관·경이 총력적으로 협력하는 지원 체계를 구축하였다. 스토킹 피해자 지원을 위하여 피해자에 대한 피해접수·상담, 사례관리, 폭력피해지원 기관 연계 등 사후관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긴급 주거지원 및 치료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신종우 복지여성국장은 “민·관·경 협업 강화로 보다 체계적인 여성폭력 방지 시책을 추진하고자 한다”면서 “여성뿐만 아니라 도민 전체가 안전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e-경남 사회복지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칠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