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발달센터, 농어촌 지역 발달장애인 ‘문화예술 접근성’ 보장한국장애인개발원 경상남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이하 경남발달센터)는 지난 24일 진영 하모니타운에서 장애학실천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이음사회적협동조합, 진영장애인직업재활시설과 진영 하모니타운에서 농어촌지역에 거주하
2024년 발달재활서비스 신규대상자 모집 (2.1.~2.14.)1. 신청기간 : 2024.02.01.(목) ~ 2024.02.14.(수) *공휴일 제외2. 모집인원 : 100명(창원시 전체)3. 지원기간 : 2024.03.01.~ 만 18세가 되는 달 까지(*등록 장애
올해로 5년차를 맞은 LG생활건강의 ESG 활동인 ‘여성장애인 날개달기’ 사업이 지원 대상을 기존 뇌병변·지체·시각장애인에 이어 ‘청각장애인’까지 확대했다. 여성장애인 날개달기는 LG생활건강이 아름다운재단,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등과 함께 여성장애인들에게 일상
뜨레봄은 발달장애인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이날은 한지를 이용하여 접시를 만드는 체험활동을 하였다.한지를 접고 자르고 부이며 모양을 만들어 간다. 마지막으로 태극무늬를 붙이며 접시를 완성한다.뜨레봄의 이용자들은 여러가지 다양하고 재미있는 미술활동을 통해
김해시, 경남 최초로 장애인에 '읽어주는 전자신문' 서비스 도입시청 누리집에는 '시민정책제안' 코너도 신설 '소통 강화'김해시가 저소득 장애인들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경남에서는 최초로 '읽어주는 전자신문' 서비스를 도입해 눈길을 끈다. 또 시청 누리집에는 '시민
경남형 통합돌봄’ 확대 시행…통영·산청 추가 9곳20억 투입해 보건의료·일상돌봄 서비스 제공경남도가 현재 사는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복지서비스를 지원하는 ‘경남형 통합돌봄’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도는 올해부터 경남형 통합돌봄 사업 대상 지역을 기존 사천
"꽃이 나타나는 신기한 마술의 세계"뜨레봄은 발달장애인 이용자들에게 주1회 마술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이용자 모두는 마술을 직접 해보며 신비의 세계로 빠져든다.함께 즐기며 참여하는 마술의 세계에 무한한 상상의 세계가 펼쳐진다.
경남도 병원선, 새해 힘찬 뱃고동 울리며 첫 출항 - 의료취약 도서 2개 마을 추가로 진료 지역 확대- 섬 마을 주민 안구·피부 건조증 예방을 위해 진료 강화 경남 병원선은 지난 4일 고성 자란도 마을을 시작으로 2024년 순회 진료 첫 출항을 알렸다. 경남도에서 운영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는 희망의 씨앗입니다” - 경남도,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교육 실시-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비율 1%’ 달성이 목표- 중증장애인들의 직업재활과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역할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지난 1월 25일 도청 대강당
창원기술정공, 장애인종합복지관 후원 등창원기술정공 오병후(오른쪽 두 번째) 대표가 24일 창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 설 명절 후원금을 전달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창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제공)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창원기술정공은 24일 창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을 방문해 설
뜨레봄의 발달장애인이용자들은 떡볶이를 만들었다. 어묵과 야채도 자른후 냄비에 넣어 섞으며 요리활동에 심취해 있다.오늘은 떡볶이 먹는날이다 자신이 만든 떡볶이를 맛있게 먹으며 "더주세요"하며 즐거운 식사시간이 되었다.
경남도,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체전 대비 위생교육 실시 - 관내 휴게음식점 영업자 등 100여 명 대상- 체전기간 음식점 방문 손님 친절 응대 등 친절교육 병행 실시 경남도(도지사 박완수)는 지난 16일 김해시보건소 대강당에서 관내 휴게음식점 신규영업주 등 100여 명
발달장애인 뜨레봄의 이용자들은 DIY 체험 활동을 통해 멋진 의자를 만들었다.나무 목재를 이용하여 사포로 문지르며 표면을 고르게 한 후 예쁜 의자를 만들기 위해 색상도 선택하여 칠한다. 스탠실을 이용하여 멋진그림 색칠했다. 멋진 의자가 완성되었네요,
손덕상 경남도의원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촉진 조례안’ 발의경남도의회 교육위원회 손덕상 의원(더불어민주당,김해8)이 지난 8일 대표 발의한 ‘경남도교육청 중증장애인생산품 및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우선구매 촉진 조례안’이 제410회 경상남도의회에서 심의될 예정이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2024년 1월부터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 교통비 지원을 기존 매월 5만 원에서 7만 원으로 인상했다.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 비용지원’은 저소득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근로의욕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출·